국공립 어린이집 육아휴직 제가 이번에 결혼해서 경기도로 넘어가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지금 서울에서
제가 이번에 결혼해서 경기도로 넘어가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지금 서울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25년도 7월에 아기를 계획하고 26년 2월에 육아휴직을 써서 7개월간 아기를 키운다음 27년 2월에 경기도로 이사하고 서울 직장을 다니면 힘들까요?..혹시 육아휴직하는 동안 달마다 얼마를 받을 수 있으며, 혹시 육아휴직 하고 아기 때문에 서울에서 일을 못하게 될 때 문제가 될 수 있을까요..?정말 도저히 무엇이 정답인지, 육아휴직에 대해 자세히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먼저 결혼을 축하드려요! 26년 2월 육아휴직 후 7개월간 육아, 그리고 27년 2월 이사 후 서울 직장 다니는 계획이 쉽지 않으실 텐데, 육아휴직 급여와 퇴사 관련 문제점을 꼼꼼히 알아봐야겠네요.
육아휴직 급여는 휴직 시작일 기준 통상임금의 80%이며 상한액과 하한액이 존재해요. (2024년 기준 상한액 월 150만원, 하한액 월 70만원인데 매년 변동될 수 있어요.) 급여는 최대 1년 동안 지급되는데, 25%는 복직 후 6개월 근무해야 받을 수 있다는 점!
육아휴직 자체는 퇴사 불이익 사유가 안 돼요. 하지만 육아휴직 급여 중 25%는 복직 후 6개월 근무해야 해서, 바로 퇴사하면 못 받거나 환수될 수 있어요. 퇴직금은 육아휴직 기간도 포함해서 계산되니 걱정 마세요.
혹시 육아휴직 후 퇴사하더라도 회사 사정으로 권고사직 당하거나 계약 만료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도 있어요. 26년 2월 복귀 후 이사 및 서울 직장 복귀 계획은 퇴사 사유에 따라 실업급여 수급이 달라지니 꼭 확인해보세요!
육아휴직 급여나 법규는 매년 바뀔 수 있으니, 26년 육아휴직 전에 고용노동부나 고용보험 쪽에 꼭 다시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질문자님, 육아와 직장, 이사까지 계획하시느라 정말 바쁘시겠어요! 혹시 복잡한 세금 문제나 부동산 관련해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하세요. 지금 상담 신청하시면 특별한 혜택을 드리고 있으니, 이번 기회 놓치지 마시고 꼭 상담 받아보세요!